일을 안 하는 여가시간에는 무얼 하면서 쉬나요?
유튜브도 보고, 달리기도 해요. 마케팅은 머리를 써서 하는 일이잖아요. 내 머리를 쉬게 하려면 몸을 움직여주거나 진짜로 머리를 쉴 수 있는 멍 때리기를 해야 하는데, 저는 몸을 움직이려고 ‘달리기’를 합니다. 그리고 쉴 수 있는 멍 때리기 거리들을 일하는 공간에 갖다 놓으려고 해요.
여가시간에는 적극적으로 쌓으면서 놉니다. 책을 보기도 하고, 콘텐츠를 보기도 하고, 재밌어요. 내가 이렇게 하는 게 '허황되게 날아가는 시간이 아니라 나한테 계속 쌓이고 좋아지는 거야'라는 만족감이 있으니까, 이걸 즐기는 것 같아요. 그래서 어디 가보는 것도, 가령 맛있는 음식점이 있으면 '여기 맛있다. 다음에 또 오자'가 아니라 '또 어디에 맛있는 데가 있을까?'라고 생각하고, 여행을 가도 못 가본 곳 안 가본 곳을 가면서 무언가를 쌓으려고 합니다.
열심히 브랜드에 애정을 갖고 일했고, 최근 2년은 제가 좋아하는 일을 못할 정도로 일에 에너지를 쓰다 보니까 자괴감이 들어서 내년에 퇴사하고 쉬려고 하거든요. 근데 여기서 조금 더 견디면 일을 하는 기술자에서 해결사의 역할로 접어드는 과정을 잘 겪게 될 텐데, 그만두면 그 과정을 겪기 전에 주니어에서 포기하게 된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. 내가 조금만 더 참으면 성장할 수 있는데 포기하는 건 아닐까요?
여기서 판단 근거로 생각해야 하는 건, 내가 일을 통해서 뭘 얻으려고 하지? 리워드를 생각해야 해요. 물론 많죠. 생각할 게 많고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에요. '쉼도 있어야 하고, 급여도 제대로 나와야 하고, 즐겁게 일해야 하고, 다 있어야 하는데 뭘 골라보라는 건데?' 이럴 수 있는데 그럼에도 내가 이 일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게 뭐냐는 게 판단하는 데 제일 중요한 질문인 것 같아요. 저의 케이스에서는 이 일이 나한테 즐겁고 재밌냐? 가 제일 중요했어요.
그러면 다음 질문은 ‘너는 어떨 때 재미있는데?’겠죠. 누군가는 회사에서 인정받는 게 재밌고, 누군가는 인정받는 건 됐고 안정에 재미를 느끼는 사람도 있을 거고, 누군가는 이 급여를 받는데 어떻게 재미없을 수가 있어 이럴 수도 있는 거죠. 사람들이 느끼는 재미의 포인트는 달라요. 나는 뭘 할 때 재미있지? 이걸 알아야 해요. 재미 포인트 중에 나쁜 건 없는 거 같아요. 나쁜 건 내가 어디에 재미를 느끼는지 모르고 그러면서 남들이 맞다는 걸 따라가는 거, 그게 위험할 가능성이 크죠.